2019년 개봉한 재난 액션 코미디 영화 《엑시트》는 유독가스에 뒤덮인 도심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젊은이들의 생존기를 그린 작품이다.
감독 이상근의 장편 데뷔작이자, 조정석과 윤아의 신선한 조합으로 개봉 전부터 기대를 모았고, 예상 밖의 큰 흥행을 기록하며 940만 관객을 동원해 대한민국 재난영화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전형적인 영웅이 등장하는 기존 재난물과 달리, 《엑시트》는 평범한 청년이 뛰어난 등반 실력을 활용해 위기를 극복한다는 현실적인 설정과 코미디와 감동, 액션을 적절히 섞은 연출로 관객의 몰입을 끌어냈다.
웃기지만 진지하고, 가볍지만 무게 있는 메시지를 던지는 작품으로, 재난 속에서도 인간미를 잃지 않는 따뜻한 영화다.
1. 줄거리 – 이 청춘, 탈출에 진심이다
주인공 용남(조정석)은 대학교 산악부 출신이지만 졸업 후 몇 년째 백수 생활 중인 무기력한 청년이다. 가족의 눈치를 보며 살아가던 어느 날, 어머니의 생신잔치가 열린 도심의 한 연회장. 우연히 그곳에서 대학 시절 짝사랑 상대였던 의주(임윤아)를 다시 만난다.
그러던 중 갑작스럽게 도심에 정체불명의 유독가스가 퍼지기 시작하고, 건물 전체가 봉쇄된다.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는 점점 아래층으로 퍼지고, 생존을 위해선 ‘높이 올라가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이다.
용남은 산악부 시절의 실력을 떠올려, 절체절명의 순간에 클라이밍으로 건물 외벽을 타고 구조를 시도한다. 의주 역시 과거의 경험을 살려 그와 함께 동행하며, 두 사람은 점점 극한 상황에 몰리면서도 서로를 돕고, 살아남기 위해 한계를 뛰어넘는다.
그들은 자신의 삶에서 실패한 존재였지만, 이번만큼은 진심으로 ‘살아남고 싶다’는 마음으로 도전하고, 그 과정에서 용기와 희망, 그리고 스스로를 향한 믿음을 되찾아 간다.
2. 캐릭터 분석 – 소시민의 생존기, 인간미 가득한 영웅들
● 용남 (조정석)
조정석은 특유의 리듬감 있는 코미디 연기와 인간적인 감성을 자연스럽게 녹여낸다. 용남은 능력도 없고, 눈치만 보는 백수처럼 보이지만, 극한 상황에서는 누구보다 냉정하고 빠른 판단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의외의 리더십과 책임감을 보여준다.
특히 고층 건물을 맨손으로 오르며 뿜어내는 생존 본능과, 그 과정에서 표현되는 두려움과 희망, 후회와 용기의 감정은 조정석의 연기력으로 더욱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 의주 (윤아)
윤아는 기존의 이미지와는 달리 능동적이고 당찬 여성 캐릭터를 소화하며 배우로서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보여준다. 단순한 ‘여주인공’이 아닌, 생존의 주체로서 용남과 대등하게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존재다.
특히 뛰고, 기어오르고, 뛰어내리는 장면 등 대부분의 액션을 직접 소화하며 진정성 있는 연기를 펼쳤고, 조정석과의 호흡도 자연스럽고 유쾌하다. 재난 속에서도 유머를 잃지 않고, 타인을 배려하는 모습은 관객의 공감과 지지를 얻는다.
3. 연출과 액션 – 유쾌한 스릴, 그리고 짜릿한 탈출감
감독 이상근은 장편 데뷔작임에도 불구하고, 탄탄한 각본과 세련된 연출로 눈길을 끌었다. 특히 재난 영화 특유의 무거움보다 빠른 템포와 유머를 앞세운 독창적 접근이 돋보인다.
건물 외벽을 타고 올라가는 장면은 마치 스릴 넘치는 게임을 연상시키며, 관객이 실제로 주인공들과 함께 뛰고 있는 듯한 몰입감을 준다. 드론과 헬리콥터를 활용한 공중 촬영, 고층 빌딩의 아찔한 시점에서의 카메라 워킹 등 시각적으로도 완성도가 높다.
액션은 ‘과장된 영웅적 액션’이 아닌, 현실감 있는 동작과 실패, 좌절을 통해 진짜 사람들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감정적인 설득력도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4.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 – 포기하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
《엑시트》가 단순한 오락영화에서 그치지 않는 이유는, 그 속에 담긴 ‘청춘의 현실’과 ‘삶을 향한 의지’에 대한 이야기 때문이다.
용남은 사회적으로 실패한 청년일 수 있다. 하지만 위기 앞에서 그는 자신의 무가치함을 뛰어넘어 ‘누군가를 구하고, 자신도 살아가는’ 존재로 거듭난다.
또한 영화는 유독가스를 '절망', '좌절', '현실의 벽'으로 상징화하며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인생의 위기에서 도망치지 않고 끝까지 버티는 힘의 소중함을 전한다.
‘내 인생이 아무 쓸모없어 보일 때, 그 쓸모가 한순간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면?’ 이 단순하면서도 묵직한 메시지가 관객의 마음을 오래도록 울린다.
5. 결론 – 웃고 뛰고 울리는, 한국형 재난 영화의 진화
《엑시트》는 한국형 재난 영화가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를 보여준 좋은 사례다. 화려한 CG나 거대한 규모 없이도, 탄탄한 각본, 배우들의 생생한 연기, 현실적인 설정만으로도 충분히 감동적이고 긴박한 영화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무겁지 않지만 가볍지도 않고, 유쾌하지만 진지한 이 영화는 누구에게나 권할 수 있는 안전 하면서도 재미있는 재난영화다.
🎬 “도망치지 마! 살아남자!”
⭐⭐⭐⭐⭐ (5/5)
《엑시트》는 재난보다 무서운 현실 속에서도, 스스로의 삶을 포기하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한 번의 용기, 한 번의 선택이 누군가를 살릴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진 이 영화는, 2020년대 한국 영화의 희망이었다.